전체 글 16

CODEOWNERS – 협업의 책임을 코드로 명시하다

GitHub CODEOWNERS – 팀의 책임을 코드로 기록하는 방법협업을 하다 보면 “이건 누가 봐야 하지?” 하는 순간이 꼭 생긴다.누가 어떤 부분을 담당하는지 애매하면, 리뷰 요청도 중복되고 책임도 흐려진다.GitHub은 이런 문제를 간단하게 풀었다.CODEOWNERS라는 텍스트 파일 하나로 말이다.CODEOWNERS는 뭐 하는 파일일까CODEOWNERS는 저장소 안에서 각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자(리뷰어) 를 정의하는 규칙 파일이다.프로젝트 루트나 .github/ 폴더에 위치하며, 팀별로 코드를 어떻게 나눠 관리할지를 명시한다.# 파일경로 .github/CODEOWNERS# Frontend 관련 코드는 프론트엔드 팀이 /frontend/ @frontend-team # Backend 관련 코드는 ..

GitHub Culture Series – 시리즈 소개

요즘 GitHub을 보면, 단순히 코드를 관리하는 공간 이상이라는 생각이 든다.개발자들이 일하는 방식 자체를 조금씩 바꾸는 실험이 이어지고 있다.이 시리즈는 그런 실험을 따라가 본다.Spec Kit, CODEOWNERS, GitHub Actions 같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GitHub이 “일하는 문화를 코드로 표현하는 방식”을 살펴본다.기술적인 깊이보다는,왜 이런 시도가 나왔는지,그리고 이런 흐름이 개발자들의 일상에 어떤 변화를 주는지에 초점을 둔다.

Spec Kit – 문서 표준화를 위한 GitHub의 시도

GitHub Spec Kit – 문서도 코드처럼 관리할 수 있을까?요즘 GitHub이 내놓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을 보면, 기술적인 실험이라기보다“개발 문화를 시스템으로 만들려는 시도”가 많다는 느낌을 받는다.이번에 공개된 Spec Kit도 그중 하나다.처음 이름만 봤을 때는 거창한 ‘스펙 관리 툴’인가 싶었는데,알고 보니 훨씬 현실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었다 — 바로 문서 표준화다.문서 관리, 생각보다 골칫거리다팀 단위로 프로젝트를 여러 개 운영하다 보면 문서가 제멋대로 흩어진다.어떤 레포는 README가 있지만, CONTRIBUTING.md는 없고,다른 레포는 라이선스가 빠져 있거나 오래된 버전을 그대로 두기도 한다.결국 누군가 한참 뒤에 “이거 구조 맞나?”를 확인해야 하고,그게 생각보다 자주 반복된다..

[6] Ionic Camera 기능 구현

Ionic Framework & Firebase를 기용하여 현재까지 구현된 기능은 사용자 등록, 로그인, 사용자 리스트 출력 기능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ordova의 Camera Plugin을 설치하여 갤러리에서 사진을 선택하고 Firebase Storage에 업로드하여 페이지에 출력해보는 임의의 사용자 프로필 화면을 구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Camera Plugin 추가 (1) Plugin, Package 설치사진 찍기 및 업로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Camera Plugin과 Package를 추가해야 합니다. $ionic plugin add cordova-plugin-camera --save$npm install --save @ionic-native/camera(2) 프로젝트에 Module ..

Ionic 3 2018.09.23

[5] Ionic & Firebase 사용자 리스트 출력

이전 포스팅에서 사용자 로그인 및 등록 페이지를 구현하고 Firebase console에서 등록한 사용자에 대한 기록을 확인 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리스트를 출력하는 사용자 리스트 페이지를 구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용자 리스트 출력 기능 구현프로젝트를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추가되어 있는 list폴더에서 기능구현을 진행하도록 합니다. 사용자가 등록하는 시점에서 사용자 Email과 Uid 값을 Database에 저장하여 출력하는 과정입니다. 기존에 설치했던 angulrFire2 모듈에 포함되어 있는 AngularFireDatabase, FirebaseListObservable 기반으로 로직을 구현하게 됩니다. (1) list 페이지 구현 src/pages/list/list.html..

Ionic 3 2018.09.23

[4] Ionic & Firebase 로그인 기능 구현

이번 포스팅에서는 Ionic Framework와 Firebase의 이메일 인증 서비스를 활용하여 로그인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Firebase Console에서 이메일 로그인을 위한 설정을 한 후,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등록 페이지를 구성하고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하는 페이지를 구현하는 순서로 진행하도록 할 것입니다. Firebase 로그인 방법 설정Firebase Console로 이동하여 로그인 방법을 이메일/비밀번호 방식으로 설정하도록 합니다. Authentication 메뉴에서 '로그인 방법' 카테고리로 이동 하여 '이메일/비밀번호' 선택한 후 사용설정을 황성화 시켜주고 저장합니다. 본격적으로 로그인을 위한 화면 구성및 로직을 구현하고록 하겠습니다. ionic ..

Ionic 3 2018.09.23

[3] VS code에 Ionic 디버깅 환경 구성

Ionic 프로젝트를 좀 더 수월하게 진행하기 위해 Cordova Tools Extension을 설치하여 Emulator를 구동시켜 디버깅환경을 구성할 것입니다. VS code IDE 에서 Cordova Tools Extension을 설치하여 Cordova 구성요소를 추가하고 IOS 플랫폼 환경의 Emulator를 설치하고 실행시켜 보도록 하겠습니다. Cordova Tools Extension 설치Cordova Tools Extension: https://marketplace.visualstudio.com/items?itemName=vsmobile.cordova-tools 위의 주소에 Cordova 디버깅 환경에 대한 구성요소를 추가하도록 도와주는 Extension설치 방법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우선적으..

Ionic 3 2018.09.23

[2] ionic 3 Ionic 3 & Firebase 연동

Ionic과 Firebase를 이용하여 가장 기본적인 기능들이 들어간 간단한 하이브리드 앱을 만들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포스팅을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Firebase는 모바일 앱 개발 백엔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BaaS(Backend as a Service ) 플랫폼으로 사용자 관리, 푸쉬 알림, 데이터베이스 등의 백엔드 기능을 API 형태로 제공하여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하여 개발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Ionic 프로젝트에서 Firebase를 사용하는 방법과 Firebase 설정에 대한 부분을 다룰 것 입니다. Ionic 프로젝트에 Firebase 설치Ionic 프로젝트 경로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통해 Firebase 및 Angular 공식 라이브러리인 AngularFire2를 ..

Ionic 3 2018.09.23

[1] Ionic 3 프로젝트 생성 및 실행

Ionic 3 & Firebase 를 이용하여 기본적인 기능을 구현한 앱을 만드는 과정의 첫번째 과정으로 Ionic 프로젝트 생성과 실행 방법을 포스팅하였습니다. 또한 이어질 Ionic & Firebase포스팅 목록은 2017년 8월 기준의 버전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작년에 다른 계정에 작성해 두었던 글을 옮겨 왔습니다. 이점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onic 설치하기NPM을 이용하여 Ionic CLI와 Cordova를 설치하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NodeJs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NodeJs 를 설치하면 NPM 또한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NodeJs 설치: https://nodejs.org/ko/ 이후 터미널에서 NPM 으로 Cordova와 Ionic CLI를 설치합니다. ionic은 내부적..

Ionic 3 2018.09.23

ExpressJS::개발환경 구축과 실행

NodeJS를 위한 빠르고 개방적인 간결한 웹 프레임워크인 ExpressJS의 실습을 위한 간단한 개발환경 구축 및 실행방법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습니다. NodeJS 설치하기Express를 위해서는 NodeJS가 우선적으로 설치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https://nodejs.org/en/ 에서 다운로드 받은 후 간단한 절차를 통해 설치가 가능합니다. terminal에서 node 버전확인을 통해 설치가 제대로 되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 node -v node version: 6.10.2 프로젝트 생성하기개발툴에서 ExpressJS 실습을 위한 프로젝트를 생성해줍니다. 저의 경우 visual studio code(vscode)에서 started_express 라는 이름의 폴더를 생성해 주었습니다. 개..

NodeJS/ExpressJS 2017.05.05